중국, 위안화 안정 도모를 위한 기준금리 동결

[email protected]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人民銀行, PBOC)은 1년 만기 대출 기준금리(Loan Prime Rate, LPR)를 3.1%로, 5년 만기 LPR을 3.6%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을 충족시키는 조치로, 미국과의 무역 긴장 속에서 위안화를 안정시키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최근 발표된 1분기 GDP 성장률은 5.4%로, 예상보다 양호한 성과를 낸 덕분에 인민은행이 금리를 동결할 여유가 생겼다. 소매 판매와 산업 생산 지표 또한 로이터 통계객관 조사에서 예상보다 더 나은 수치를 기록했다. 1년 만기 LPR은 기업 대출 및 대부분 가계 대출에, 5년 만기 LPR은 주택 담보대출 기준금리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PBOC는 지난해 10월 이후 LPR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번 결정은 경제학자들 87% 이상이 예상했던 바와 일치한다. 발표 이후, 중국 온shore 위안화는 7.2995 달러에 거래되었고, offshore 위안화는 7.2962 달러로 소폭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중국 본토의 CSI 300 지수는 0.36% 상승했다.

더불어, 네덜란드 ING 은행은 최근 노트에서 PBOC가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을 점쳤으며, LPR이 7일 만기 환매조건부채권 금리가 먼저 인하되지 않는 한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7일 만기 환매조건부채권 금리는 1.5%로, 지난 9월 20bp 인하된 바 있다.

그러나 ING 은행은 “낮은 인플레이션과 무역 갈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 금리를 인하할 강력한 근거가 될 수 있지만 위안화 안정을 위한 고려로 인해 PBOC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하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중국 수입품에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은 미국 수입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도, 중국의 소비자 물가는 여전히 디플레이션 상태이다. 3월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1% 하락했으며, 생산자물가지수(PPI)는 2.5% 하락하여 29개월 연속 디플레이션 상태를 기록하며 2024년 11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경제 지표들을 바탕으로 위안화 안정 및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향후 금리 정책 변화 여부는 국제 경제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무역 문제와 글로벌 경제의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