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한 ‘차분하고 질서 있는’ 대화를 요청

[email protected]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문제에 대해 ‘차분하고 질서 있는’ 논의를 요청하며, 7월 초까지 관세 협상 타결을 희망하고 있다. 이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90일간의 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4월 24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2+2’ 회담에서 한국의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인 안덕균이 미국의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와 만나었다. 최 부총리는 기자들에게 향후 논의의 초점이 관세 및 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투자 협력 및 통화 정책 등 네 가지 분야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 회담에서 최 부총리는 양국에 상호 이익이 되는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제안했으며, 한국의 관세에 관한 우려를 전달했다. 안 장관은 양국이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을 위한 기여 방안과 지속 가능하고 균형 잡힌 한미 무역, 한국의 에너지 안전 강화를 위한 조치를 제안했다. 그는 또한 한국에 대한 상호적이고 품목별 관세 면제를 요청했다.

현재 한국은 다른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상대적’ 관세는 유예받고 있지만, 한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품에는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자동차 수출에도 동일한 25%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현대와 기아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브랜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은 2024년 기준으로 미국에 4위의 철강 수출국이다.

ANZ는 한국이 미국과 무역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지만, 6월 3일로 예정된 대선으로 인해 포괄적 협정의 타이밍이 늘어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한국은 6월 3일 대선을 통해 새로운 정부를 구성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최 부총리는 한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강조하였다.

프리미엄 브랜드 차량을 생산하는 한국의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시장에서도 강력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협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추가로 양국은 앞으로도 다양한 고위급 논의를 지속하고, 현안 해결을 위한 실무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처럼 한국 정부는 미국 측에 대한 신뢰성 있는 파트너로서의 입장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무역 환경을 조성하고자 힘쓰고 있다. 이번 협상은 한국의 경제 안정성뿐만 아니라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향후 양국의 경제적 협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