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솔루션즈, 상장 철회 결정…국내 IPO 시장 위축 불가피

[email protected]





DN솔루션즈가 상장 계획을 전격 철회했다. 향후 예상 시가총액이 4조~5조 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었던 이 기업은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부진한 투자 심리에 따라 더욱 큰 몸값을 인정받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따라, DN솔루션즈는 30일 경영진 회의를 거쳐 한국거래소에 상장 철회 신고서를 제출했다.

올해 4월은 최근 5년 간 기업공개(IPO) 시장의 가장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대어급 기업의 상장이 취소됐다. DN솔루션즈는 지난해 4월 22일부터 28일 사이에 진행된 수요예측에서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참여가 저조했으며, 이는 현재 금융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희망 공모가 범위 하단에만 참여했지만, 대부분의 주주들은 보다 높은 가격을 기대하기 위해 시장 상황의 개선을 기다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업의 예상 공모가는 6만 5천 원에서 8만 9천 700원 사이였으며, 이로 인해 조 단위 규모의 IPO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IB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관들이 다소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은 사실이나, 해외 투자자들의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참여가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회의적 태도는 글로벌 경제 엔진인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하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은 무역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DN솔루션즈와 같이 수출 비중이 80%인 기업의 투자 부담을 더욱 키운 것으로 보인다.

해외 기관투자자들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IPO 시장에 기피하는 경향이 강해졌으며, 최근의 조 단위 기업 공모에서도 이들의 참여는 낮은 수준에 그쳤다. DN솔루션즈의 상장 철회는 이번 IPO 시장이 단기적으로 반전을 이루기 어렵다는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실제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4월 신규 상장 기업 수는 단 3곳에 그치며, 이는 최근 몇 년 간의 통계와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수치다. 이러한 경향은 시장 불확실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 상장 연기나 철회가 빈번해진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고평가 논란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적과 성장성을 기준으로 보다 엄격하게 평가하게 만든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현재 롯데글로벌로지스와 달바글로벌이 상장 계획을 진행 중이며, 이들 기업의 공모 결과가 향후 IPO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예상 시가총액이 4천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해당 기업도 수요예측 결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DN솔루션즈의 상장 철회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향후 남은 중대형 상장기업들의 성과에 대한 관심을 배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IPO 시장이 현재의 침체 국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기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DN솔루션즈는 규모 면에서는 크지 않지만, 남은 기업들의 상장 결과가 IPO 시장의 향후 전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