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주식 매도 시기?…‘셀 인 메이’ 올해도 적용될까

[email protected]





5월에는 주식을 팔고 시장을 떠나라는 투자 격언인 ‘셀 인 메이’가 올해에도 유효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증권가에서는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이 지나가며 코스피가 반등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4일 증권 시장에 따르면, 2일 코스피는 3.18포인트(0.12%) 상승한 2559.79로 거래를 마감했다. ‘셀 인 메이’는 통상적으로 주식 시장이 약세를 보이는 5월에 매도를 권장하는 미국 월가의 오래된 투자 법칙으로, 1950년부터 2013년까지의 데이터에서 5월부터 10월까지 다우지수가 부진했던 것을 기초로 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5월에는 코스피가 2.06% 하락하면서 약세장을 경험했다. 그러나 최근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5월 수익률이 지난 6년 간 ‘마이너스’를 기록한 반면 4회 상승한 사례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증권가는 이번 5월에 코스피가 하락보다는 상승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유안타증권은 5월 코스피의 예상 상단을 최대 2700포인트로 제시했으며, 키움증권과 KB증권은 각각 2670포인트를 상단으로 보고 있다. 반면, 대신증권은 2430~2650선이 가장 낮은 하단으로 예상하고 있다. 키움증권의 한지영 연구원은 “지난달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외국인 자금의 이탈을 초래했지만, 현재는 협상이 진행되면서 우려가 해소되고 있다”고 설명하며, 5월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용구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2300선은 경기와 정책 불확실성이 극단적으로 반영된 바닥 상태”라며, 현재 주가 수익비율이 8.6배에 달해 매도보다는 보유, 관망보다는 매수가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증시는 제한적인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난무하고 있다. SK증권의 강대승 연구원은 “미국과 한국 간의 협상이 진행됨에 따라 관세로 인한 시장 압력이 완화될 것”이라면서도 “무역과 내수 부진으로 인해 한국 경제 성장 둔화가 코스피의 상승폭을 제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뚜렷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래에셋증권의 유명간 연구원은 “관세 리스크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불확실성의 정점은 지나갔다”고 강조하며, 국내 증시가 관세 협상 진전과 함께 회복세를 보인다고 예상했다. 그러나 관세 영향과 이익 모멘텀에 따라 종목별 차별화가 지속될 가능성도 크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셀 인 메이’ 법칙에 따라 주식 매도를 고려하기보다는 주의 깊은 시장 분석을 통해 올바른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코스피의 향후 흐름에 대한 재평가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