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국의 상장기업 중 이자조차 상환할 수 없는 경영 한계 상태에 있는 ‘좀비 기업’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일경제에 의뢰하여 실시한 분석에 따르면, 한계 상태에 빠진 상장사는 지난해 541곳으로 1년 사이 61곳(12.7%)이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상장기업의 약 22.6%에 해당하며, 1999년 외환위기 이후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이러한 급증은 경기 침체의 부정적 영향과 미국 관세 등 대내외의 불안 요소들이 겹쳐 발생하고 있다. 은행들은 건전성을 강조하며 대출을 두고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영 상태가 양호한 상장사들 중에서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은행권에서는 이러한 한계 기업들이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하고 있으며, 신용 평가 및 대출 규제를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은행들은 일반적으로 회계법인 감사를 받은 외부 감사 기업의 결산 이후 5~6개월 이내에 신용 평가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대출 규모와 금리 수준을 재조정하고 있으며, 경기의 악화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다.
게다가 고위험 산업군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향후 경기 상황에 따라 대출을 더욱 강하게 조일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용 등급 하락은 기업이 받을 수 있는 자금의 양을 줄이고, 더 높은 금리를 부과하게 되어 자금 경색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금융당국은 기업 자금이 지나치게 경색되지 않도록 금융사 자본 규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벤처 투자 조합의 위험 가중치를 차등적으로 적용하고, 부동산 개발 금융 및 부실채권에 대한 기준을 완화하는 방법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조치가 시행되면 일정 부분 기업 자금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기업뿐만 아니라 영세 자영업자들의 부채 문제도 심각하다. 일례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차입한 다중채무 자영업자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749조6000억원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세종, 경북, 경남 지역에서는 이들이 증가하는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업 및 자영업자 부실이 장기화될 경우, 취약차주로의 리스크 전이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부실 대출이 커지면 경제 전반에 대한 부정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만큼, 지원과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모펀드나 대기업이 문제 기업을 정리하거나 인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금융권은 부실 채권 및 기업 경영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 금융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