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수출이 급증, 동남아시아로의 선적이 미국과의 교역 감소를 상쇄

[email protected]





중국의 수출이 2025년 4월 예상보다 높은 8.1% 상승하며 급증했다. 지난 해 같은 기간과 비교한 수치로, 이 수치는 로이터의 조사에서 예상한 1.9% 상승을 크게 뛰어넘는 결과이다. 수출의 급증은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선적 증가 덕분으로 보고되며, 이는 미국으로의 수출 감소를 상쇄하는 역할을 했다.

2025년 4월 동안 중국의 미국 수출은 전년 대비 21%에 달하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이에 따라 중국이 미국에서 수입하는 물품 역시 거의 1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지난 달부터 적용된 고율의 관세와 관련이 있다. 수출의 전반적인 증가세는 일부는 제3국을 통한 전송과 관세 발표 이전에 체결된 계약들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중국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20.8% 증가하며 3월의 11.6% 성장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동시에 동남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은 2.5% 증가했다.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 또한 8.3% 상승했지만, 수입은 16.5% 감소했다.

3월에 세계적으로 중국에서의 출하량은 12.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기업들이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급히 상품을 수출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수입은 예상보다 더 큰 4.3% 감소로, 이는 중국 정부가 국내 수요를 회복하는 데 직면한 과제를 부각시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 제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에 중국은 미국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에 이른다. 양측은 각각 일부 주요 제품에 대한 면세 혜택을 통해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과 미국 간의 교역량이 감소함에 따라, 컨테이너 선박의 수 역시 4월 말까지 급감하였으며, 이는 ANZ은행의 레이몬드 융(Yeung) 최고 경제학자에 의해 지적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중국 정부는 수출업자들에게 국내 시장으로의 판매 전환을 도모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의 더 깊은 디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의 수출 증가는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신호로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미국과의 교역 감소와 세계 경제 변화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