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특히 테슬라와 애플에 대한 투자를 공격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손실을 회복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18일 한국예탁결제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으로 주가가 급락했던 지난 7일부터 15일 사이 서학개미들은 25억 6659만 달러 규모의 주식을 매수했다. 이 기간 동안 서학개미들은 테슬라에 4억 1547만 달러, 애플에 2억 7286만 달러, 알파벳에는 1억 3161만 달러를 투자했다.
이처럼 공격적인 저가매수는 시장에서 나타난 과도한 하락에 대한 반응으로 풀이된다.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손실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하며 “버티면 본전이 온다”는 글들이 이어졌다. 실제로 서학개미가 집중적으로 매수한 종목들은 7~8일 바닥을 찍고 반등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테슬라는 지난 7일(현지시간) 장중 214.25달러에서 급락했으나, 이달 15일에는 342.82달러로 60%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언급 이전인 지난 1일의 종가인 268.46달러보다도 27.7% 높은 가격이다. 애플 또한 지난 1일 223.19달러에서 지난 8일에는 169.21달러로 하락했으나, 반등에 성공하여 지난 15일에는 211.45달러로 마감했다. 이는 저가 대비 24.96% 상승한 수치로, 물타기에 성공한 개미들은 본전을 회복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주가가 관세 부과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이지, 연초와 비교하면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연초 대비 테슬라는 -15.11%, 애플은 -15.56%의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증권가에서는 물타기를 통해 저점을 낮추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지만, 미국의 관세 유예 기간이 제한돼 있고 무역 분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만큼, 레버리지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하라는 경고를 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애플의 AI 플랫폼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진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다음 달 신규 AI 기능 발표 전까지 보수적인 접근을 추천한다. 또한 신한투자증권은 알파벳의 경우 가격 대비 기업 가치가 매력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반독점 소송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단기 반등 후 추가 매수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