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에 이어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 증시와 관련된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신용등급 하락이 분명히 부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지만, 이는 예고된 사건으로 단기적인 요인일 뿐 한국 시장에 미치는 파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시장의 충격은 다소 경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예를 들어, 피치가 2023년 8월 2일 미국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을 때, 코스피는 1.9% 하락하며 2616.47으로 마감했으며, 코스닥 지수는 3.18% 하락했다. 반면에 S&P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었던 2011년에는 코스피가 3.82% 떨어진 바 있다.
이번 하향 조정은 예고된 강등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현재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평가 가치)이 낮아 이전과 같은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현재 코스피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8배로, 2011년과 2023년의 1배에서 0.9배 중후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향후 대응 및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진행 방향이 더욱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신용등급 조정보다 실제 경제 펀더멘털 및 정책 방향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진단이다. 미국의 재정적자와 이자 비용 증가 우려에 대한 리스크는 이미 시장에 반영되어 있는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증권가에서는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와 트럼프발(Trump-related) 불확실성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미국 신용등급 하락이 한국 증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며, 이는 보다 긍정적인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