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정부는 2026년 1월부터 모든 암호화폐 기업이 사용자 거래를 보고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세금 투명성을 높이고 사기 방지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불이행할 경우 사용자당 300파운드의 벌금이 부과된다. 기업들은 사용자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인해야 하며, 이는 영국 내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 수탁자, 브로커 딜러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번 새로운 규제는 국제적인 투명성 기준에 부합하며, 암호화폐 시장 운영 및 기업의 준법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세금청(HM Revenue & Customs)은 OECD의 CARF(국제 조세 보고 프레임워크)를 모델로 하여 암호화폐 사업자들이 준수해야 할 새로운 요건을 도입했다. 기반 사실은 모든 기업이 2026년 1월까지 이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조치에 대해 재무장관 레이첼 리브스는 “오늘 발표는 영국이 사업에 열려 있지만, 사기와 남용, 불안정성에는 닫혀 있다는 명확한 신호”라고 말했다. 이는 시장의 무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이번 조치는 국내외 많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암호화폐 기업들은 이번 규제로 인해 Compliance 비용의 증가, 사용자 데이터 보호에 대한 우선적인 집중이 필요해질 것이다. 이러한 규제 변화는 유럽연합의 MiCA(시장 내 암호화폐 법안)와 같은 다른 글로벌 기준과도 일치한다. 암호화폐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정부의 강화된 규제는 업계에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재정적 결과로는 암호화폐 기업의 운영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유사한 규제는 주요 암호화폐 가격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업들은 2026년까지 새로운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신속히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자산에도 더욱 엄격한 규제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며, OECD의 CARF는 과세 보고의 표준을 정립하며 향후 규제의 전례를 설정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