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C의 짐 크래머는 금요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 결정이 미국의 두 거대 기술 기업인 엔비디아와 애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자세히 설명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계속될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우리는 이 상황에 대해 마음의 평화를 찾아야 하며, 이를 주식 소유의 리스크 요소에 추가해야 한다. 이는 트럼프와 그의 측근들이 개입하지 않는 기업에 프리미엄을 부여하게 만든다”고 크래머는 덧붙였다. “안타깝게도 대통령의 간섭을 받지 않는 기업의 리스트는 날이 갈수록 짧아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공지능 칩의 수출 제한을 두어, 특히 중국을 겨냥해 국가 안보를 보호하고 첨단 기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였다. 이러한 규제는 엔비디아에 큰 타격을 주었고, CEO인 젠슨 황은 이 조치가 미국에 더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황은 이러한 제재로 인해 엔비디아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이 95%에서 50%로 감소했으며, 중국이 더 빠르게 자체 칩을 개발하도록 만들었다고 전했다. 크래머는 중국이 엔비디아의 첨단 칩에 의존하는 것이 자신의 칩을 개발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한 애플에 대해서도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강력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애플이 중국에서 인도로 제조를 전환하려고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금요일에 미국 외에서 생산된 아이폰에 대해 이러한 제재를 발표했다. 크래머는 이러한 정부의 조치에 반대하며,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은 소비자들에게 너무 비쌀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그는 애플이 이미 미국에서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냈다고 강조했다.
과거 정부의 대기업 간섭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1964년 전국적인 파업이 경제를 교란할 위협을 느끼고 철도 시스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 바 있다. 또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경제적으로 민감한 시기에 가격 인상을 단행한 제철회사들을 비난하고 원상 복구를 압박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들은 국가의 중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개입은 단순히 기업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시로 해석된다고 크래머는 말했다.
크래머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치 기업의 이사회 의장처럼 행동하고 있으며, 기업 경영진의 비즈니스 결정에 대해 재량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신의 방식으로 진행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그는 내가 ‘명령 경제’라고 부르는 상태로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화이트하우스는 이와 관련한 논평 요청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