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한국의 건설업 분야에서 약 8만 개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3년간 건설 공사비가 약 30% 증가함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되거나 착공이 미뤄지는 사례가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 직업 조사’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 수는 2869만 3000명으로 작년보다 26만 1000명이 증가했지만, 건설업에서는 분명한 하락 세를 보였다.
올 상반기 건설업에서의 취업자는 작년 상반기 62만 명에서 54만 1000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7만 9000명의 일자리 감소를 의미하며, 특히 50대 남성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이들 중 3만 9000명이 50세 이상 연령대에서 줄어들었고, 30대와 40대에서도 각각 3만 3000명과 6만 8000명의 감소가 발생했다. 이는 대다수의 일용직이 포함된 건설업에서 일자리 상실이 더욱 두드러졌음을 보여준다.
건설업 이외에 매장 판매 종사자 또한 7만 5000명 감소했으며, 이는 내수 부진의 여파로 풀이된다. 제조업, 건설업 및 도소매업에서 임금을 받아온 근로자들도 큰 타격을 받았다. 이들 중 100만 원에서 300만 원을 버는 임금 근로자는 24만 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특히 건설업에서의 하락세는 위축된 소비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러한 건설업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2차 프로젝트 파이낸싱 민관합동 조정위원회를 가동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안에 최대 62개 프로젝트에 대해 약 20조 6000억 원 규모의 조정안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착공 물량을 지난해 1만 1000가구에서 올해 5만 가구로 확대할 예정이어서, 이는 건설업 취업자 수의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증가하는 공사비와 내수 부진은 한국 건설업의 일자리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건설업의 회복에도 중대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