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법원, IRS의 비공식 데이터 수집에 암호화폐 사용자 보호할까?

[email protected]





최근 미국에서 크립토(암호화폐) 이용자들의 개인 정보 보호 권리를 둘러싼 중대한 논의가 일어나고 있다. IRS(국세청)가 14,000명 이상의 암호화폐 사용자에 대한 재정 데이터를 보증 없이 압수한 사건 때문에 대법원에 개입 요청이 제기된 것이다. 이 사건은 Harper 대 Faulkender로 알려져 있으며, 디지털 프라이버시 권리를 재정의할 중요한 기로에 놓여 있다.

이 논란은 James Harper라는 오랜 코인베이스 고객이 IRS로부터 충격적인 소식을 전해받으면서 시작되었다. 그에게는 어떤 예고도 없이, 특정한 범죄 의혹 없이 IRS가 그의 거래 내역을 포함한 정보를 수집했음을 알리는 편지가 도착했다. IRS는 특정 개인을 식별하지 않기 위해 정해진 “존 도(john doe)” 소환장을 사용하여 이처럼 대규모의 데이터를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Harper는 자신의 암호화폐 보유 정보를 항상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왔지만, 정부가 재판을 받을 기회도 주지 않고 자신의 개인 재정 정보를 넘겨준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그뿐만 아니라, 비슷한 상황에 처한 다른 14,000명의 암호화폐 사용자들도 마찬가지였다. 현재 이 사건은 미국 최고의 법원에 회부된 상태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제3자 교리(third-party doctrine)”라는 규칙이다. 이 규칙은 사람들이 코인베이스와 같은 회사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정부가 미리 동의를 구하지 않고도 해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규칙이 현대 사회에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사람들은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디지털 지갑을 사용하기 위해 개인 정보를 공유해야 하지만, 이 때문에 정부가 그들의 데이터를 허락 없이 본다는 것이 정당하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법률 단체인 뉴 시빌 리버티 얼라이언스(NCLA)와 저명한 변호사 카논 샨무감(Kannon Shanmugam)은 대법원에 이 사건을 검토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으며, 정부의 행동이 잘못되었고 기본적인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하급 법원들은 지금까지 IRS에 유리한 판결을 내리고 있어 사용자들이 코인베이스와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프라이버시 권리를 포기했다고 보고 있다.

만약 대법원이 이 사건을 심리하기로 결정한다면, 정부가 디지털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데이터의 소유권과 개인 정보 보호의 경계가 모호해진 현대 사회에서 이 사건은 앞으로의 법적 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