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법원, 코인베이스 사용자 데이터와 관련된 IRS 사건 검토 거부

[email protected]





미국 대법원이 코인베이스 사용자가 내부세무국(IRS)을 상대로 제기한 사건에 대해 검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사건은 IRS가 코인베이스에 특정 사용자로부터 거래 데이터를 제출하도록 강제했으며, 이로 인해 제임스 하퍼가 2020년 IRS를 고소한 것을 기초로 한다. 하퍼의 초기 고소장에서는 IRS와 그 관계자들이 자신의 개인 금융 정보에 대한 “불법적인 수색 및 압수”를 행했다고 주장하며, 이는 미국 헌법 제4조를 위반했다고 밝혔다.

하퍼의 사건은 뉴햄프셔 지방법원에서 2021년 3월에 기각되었고, 이후 제1순회 항소법원이 하퍼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이 이 사건에 대한 심리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하급 법원의 판결이 유지되며 미국 내 디지털 개인정보 보호권에 대한 중요한 선례를 설정하게 되었다.

코인베이스는 하퍼의 petition을 지지하는 ‘아미쿠스 브리프’를 제출하며, 하급 법원의 판결이 유지될 경우 미국 정부가 사용자의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코인베이스의 수석 법률 고문인 폴 그레왈은 수많은 다른 기관에서도 이와 같은 광범위한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며, “우리는 세금 준수를 중요하게 여기지만, 이는 암호화폐를 넘어서는 요청이다. 계좌의 개인 정보는 우편함의 편지와 동일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하퍼 사건의 판결이 나간 가운데, 국내 암호화폐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IRS 경고 문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암호화폐 세무 소프트웨어 업체인 코인레저(CoinLedger)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IRS 편지 언급이 758% 증가했다고 전하며, 이는 IRS가 디지털 자산 거래를 신고하지 않거나 부실 신고한 사용자들에게 발송한 편지 수가 늘어난 것을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인레저는 “[IRS 편지들이] 반드시 잘못된 행동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이러한 편지를 받는 사람들은 단순히 코인베이스 같은 거래소를 통해 IRS에 알려진 암호화폐 투자자들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암호화폐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번 대법원 판결은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및 세무 문제를 둘러싼 논의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되고 있으며, 향후 사용자 데이터 보호에 대한 법적 기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코인베이스 측에서는 이번 판결에 대한 공식 입장을 요청했으나, 기사 작성 시점에서 응답을 받지 못한 상황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