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WS와 도이치 뱅크의 유로 스테이블코인, 규제 승인 획득

[email protected]





DWS와 도이치 뱅크의 합작으로 설립된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AllUnity’가 독일 연방 금융 감독청(BaFin)으로부터 E-머니 기관(EMI) 라이센스를 승인받았다. 이로써 AllUnity는 MiCA(암호 자산 규제 프레임워크)에 부합하는 유로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EURAU’를 발행할 예정이다. EURAU는 기관 수준의 준비금 증명 및 금융 보고 기능을 갖춘 규제 자산으로 특징지어질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갤럭시 디지털과 협력하여, 규제된 기관, 핀테크 플랫폼, 기업 재무팀의 워크플로우에 원활하게 통합되는 유로화 기반 디지털 자산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둔 Flow Traders가 이 프로젝트의 유동성 공급자로 참여한다.

이와 같은 발전은 유럽이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경쟁의 주요 전장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MiCA 규제의 완전 시행이 2024년 12월 30일로 예정되어 있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 때,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선두주자인 테더(Tether)는 MiCA 프레임워크를 준수하지 않겠다고 밝혀, 유럽 경제 지역 내 주요 거래소들에서 USDt가 상장 폐지되는 사태가 이어졌다.

이 같은 규제 변화는 다른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들, 예를 들어 Paxos와 Circle과 같은 기업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최근 Paxos는 유럽에서 MiCA에 부합하는 글로벌 달러(USDG)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였고, Circle의 유로코인(Euro Coin)은 MiCA 시행 이후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 스테이블코인은 MiCA에 준수하는 유로화와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CoinMarketCap 데이터를 보면, USDt는 여전히 158억 달러의 시장 가치를 보유하며 시장 리더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 큰 스테이블코인인 USDC의 시장 가치가 62억 달러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각 기업들은 규제 준수를 통해 금융시장 내 입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