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기반 자산 51종 저평가, PEPE 및 ENS 거래소로의 유입 증가

[email protected]



최근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산 전반에서 보수적인 평가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고래 지갑을 중심으로 PEPE와 ENS와 같은 자산의 대규모 매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5일 오전 9시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으로 상장된 총 99개의 자산 중 47개가 중립 구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저평가 자산은 51개, 고평가 자산은 1개에 불과하다.

현재 저평가된 자산이 다수를 차지함에 따라 시장 전반의 밸류에이션이 보수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평가 자산의 비중이 낮아 과열 우려는 적고, 안정적인 가격 재편 과정이 진행 중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다양한 자산들이 저평가 리스트에 올라 있으며, 특히 ▲랠리(RLY) 및 ▲일드길드게임즈(YGG)는 ‘매우 저평가’ 구간에 속한다. 저평가 자산으로는 ▲래드웍스(RAD), ▲신세틱스(SNX), ▲에이프코인(APE), ▲깃코인(GTC), ▲세이프(SAFE) 등이 있다.

또한, 온체인 프리미엄은 –1.45%로, 이는 여전히 블록체인 상에서의 거래 가격이 중앙화 거래소보다 낮은 ‘역프리미엄’ 상태를 시사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일반적으로 온체인 매도 압력이 존재함을 나타내며, 많은 투자자가 탈중앙화 환경에서 더 저렴한 가격에 거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프리미엄 종목으로는 ▲매직(MAGIC, +15.15%), ▲랠리(RLY, +4.06%), ▲리저브라이트(RSR, +3.40%) 등이 있으며, 역프리미엄 종목으로는 ▲스트라이크(STRIKE, –70.58%), ▲덴트(DENT, –34.61%) 등이 있다.

블록체인 기반 자산의 송금 활성도를 살펴보면, 25일 기준으로 하루 송금 횟수가 30일 평균에 미치지 못한 자산이 63개로 확인되었다. 이는 전반적으로 블록체인 활동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송금 활성도가 매우 낮은 자산으로는 ▲펀디에이아이(PUNDIAI), ▲매직(MAGIC)이 있으며, 낮은 수준의 활동을 보이는 자산으로는 ▲코박토큰(CBK), ▲타이코(TAIKO), ▲옴니네트워크(OMNI)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의 자산 온체인 동향을 살펴보면, 공개된 거래소 지갑에서의 최대 입금을 기록한 자산은 ▲이더리움(ETH, 0.18조 원), ▲페페(PEPE, 3114억 원),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2178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 상위 지갑에서의 최대 입금은 ▲테더(USDT, 1711.4억 원)와 ▲에이브(AAVE, 204억 원) 등으로 확인된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 기반 자산들의 저평가 현상과 고래 지갑의 대규모 매입은 향후 시장의 방향성과 가격 재편에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은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투자 환경 속에서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PEPE 및 ENS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