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최정점 도달할까? 10월의 변곡점과 전망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현재 상승세가 정점에 이를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시장 흐름의 시작을 알리고 있는지를 두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은 약 4년 주기로 움직여왔으며, 이에 따라 상승 및 하락 사이클이 반복되었다. 하지만 최근 ETF의 출현과 기관 자금의 유입에 따라 기존 패턴은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2022년 10월의 저점 이후 현재까지 약 975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비트코인은 올해 7월 10일에 사상 최고가 12만 3,000달러(약 1억 7,097만 원)를 기록했다. 과거의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대세 상승장은 평균적으로 1,070일간 지속되며, 이번 비트코인의 사이클도 오는 10월 20일 전에 정점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이는 트위터(X)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비트코인 분석 계정들도 강조하는 부분이다.

반면,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맷 호건(Matt Hougan)은 이러한 전통적인 주기의 힘이 약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ETF 승인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며, 규제가 명확하게 정립됨에 따라 기관 투자자들이 서서히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JP모건, 스탠다드차타드 같은 대형 금융기관들이 암호화폐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러한 희망적인 전망과 함께 새로운 리스크 요소가 떠오르고 있다. 최근 한 달 동안 22개의 상장 회사가 비트코인을 자산에 추가하면서, 현재 160여 개 기업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트레저리 플레이’라는 형식의 예측 불가능한 유동성이 새로운 가격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크립토퀀트의 CEO 주기영은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며 “이전에는 고래가 사고, 개미가 뒤따르고, 다시 고래가 매도하는 사이클이 있었지만, 지금은 기존의 고래가 장기 보유를 원하는 기관 투자자에게 자산을 매도하는 전환기가 도래했다”고 설명했다. 그의 발언은 트위터에서는 폭발적으로 퍼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델리티(Fidelity)의 율리언 티머(Jurrien Timmer)는 여전히 4년 주기의 설계를 고수하고 있으며, 비트코인이 지난해의 폭락 이후 안정적으로 반등하고 있고 전고점을 갱신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ETF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 역시 구조적 변화가 있었으나 시장은 여전히 주기적으로 움직인다는 입장을 내 놓았다.

비트코인 사이클의 정점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인 ‘파이사이클탑(Pi Cycle Top)’도 주목받고 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렉트 캐피털(Rekt Capital)에 의하면, 이 지표의 골든 크로스가 올해 안에 앞당겨질 가능성이 크며, 비트코인이 2025년 말까지는 25만 달러(약 3억 4,750만 원)까지 상승하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과거에도 유사한 논쟁이 펼쳐졌지만 대세를 이루는 정점에서 시장의 방향 전환이 발생해 해석의 주도권이 변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불장이 기존 상승장의 연속인지 아니면 새로운 방향의 시작인지는 올해 10월 이후 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