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급락, 13% 하락…현물 ETF 승인에 시장의 관심 집중

[email protected]



XRP가 최근 급등 후 예기치 않게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7월 18일에는 3.66달러(약 5,087만 원)로 급상승했으나, 이후 급격하게 하락해 13.65%의 손실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3.06~3.10달러(약 4,255만~4,309만 원) 구간에서 지지력을 확인한 바 있어 단기 반등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다. 시장의 트레이더들은 이날 발표될 현물 ETF 승인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하락의 주된 원인은 레버리지 포지션의 대량 청산으로 확인된다. 7월 22일 하루 동안만 1억 달러(약 1,390억 원)를 넘는 롱 포지션이 청산되며 XRP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리플의 공동 창립자가 대량 매도를 했다는 소식이 유동성을 더욱 악화시킨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또한, 크립토퀀트(CryptoQuant)와 같은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이러한 청산이 기술적 저항선 부근에서의 차익 실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밝혔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도 현재 XRP는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3.24~3.26달러(약 4,504만~4,538만 원) 구간에는 강력한 저항이 형성되어 있으며, 3.06달러는 지난 10일 동안 가격이 여러 차례 되돌아간 주요 지지선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XRP가 이 지지선을 유지하는 것이 향후 시장 흐름의 결정적 변수가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XRP의 펀더멘털 측면에서는 여전히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최근 미국의 ‘네이처스 미라클(Nature’s Miracle)’이라는 기업은 2,000만 달러(약 278억 원) 규모의 XRP 기반 재무 전략을 도입하였으며, 브라질의 핀테크 기업 VERT도 1억 3,000만 달러(약 1,807억 원)의 블록체인 신용 솔루션을 XRP 원장 기반으로 출시하였다. 이는 XRP가 앞으로 기업 자금의 활용과 현실의 금융 연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장에서는 현물 ETF 승인 여부가 향후 가격 방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변수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미 XRP 선물 ETF를 승인했지만, REX-오스프리 등 여러 현물 ETF 신청 건은 아직 심사가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의 ETF 전문 애널리스트는 내년까지 이들 신청서의 승인 확률이 95%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시장은 오늘 발표될 첫 승인 여부에 매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XRP의 반등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글래스노드와 반에크(VanEck)의 시장 분석가들은 XRP가 3.06달러 이상에서 반등할 경우 기관 자금의 유입과 개인 투자자 심리의 회복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기에 비트코인(BTC)의 회복세와 ETF 승인 소식이 결합되면 XRP의 단기 상승 여력 또한 충분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향후 단기적으로 XRP의 가격은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업 수요의 증가, ETF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온체인 데이터가 보여주는 고래 지갑의 매입 동향은 XRP의 장기적 상승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가격 변화보다는 구조적 강세 신호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