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일러 윙클보스, JP모건의 서비스 재가입 중단 배경에 자신의 비판이 영향 미쳤다 주장

[email protected]



제미니의 공동 창립자 타일러 윙클보스가 JP모건체이스($JPM)가 자사의 서비스 재가입 절차를 중단한 이유에 대해 자신의 공개 비판이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그는 14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 플랫폼에 올린 게시글에서 “지난 주에 올린 트윗이 JP모건에게 감정을 상하게 했는지 이번 주에 서비스 재가입을 중단하겠다고 통보받았다”라고 전했다. 그는 이러한 결정이 자신의 비판 때문이라고 강조하며, “JP모건은 오퍼레이션 초크포인트 2.0 당시 우리를 계좌에서 내쫓았고, 지금은 되돌리는 과정을 다시 멈췄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갈등의 발단은 블룸버그의 보도로 거슬러 올라간다. JP모건은 핀테크 기업이 고객의 은행 데이터를 이용하려 할 경우, 데이터 접근 비용을 청구할 방침을 새롭게 도입했다. 이에 대해 윙클보스는 “이 정책은 핀테크와 암호화폐 업계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또한 이번 정책이 경쟁을 저해하는 반(反)경쟁적 결정이라고 비판하며, 암호화폐 결제를 중개하는 핀테크 기업들이 사실상 “파산”에 이르게 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JP모건은 윙클보스의 주장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이와 함께,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기관 간의 긴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앞두고 암호화폐 산업 규제가 주요 이슈로 부상하면서 한층 더 심화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금융권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점점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상징적인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근의 이러한 갈등은 전통 금융 기관과 암호화폐 기업 간의 관계가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미니의 서비스를 지원해온 JP모건의 변화는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타일러 윙클보스는 데이터 접근 비용 부과가 창의적 금융 모델을 저해하며, 혁신적인 기업들이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건은 암호화폐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흐름 속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기업들이 금융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각별히 주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