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 창립자, ‘소셜 네트워크’ 패러디로 암호화폐 과열 경고

[email protected]



도지코인(DOGE) 공동 창립자인 빌리 마커스(Billy Markus)는 2013년 도지코인 개발 당시의 경험을 영화 ‘소셜 네트워크’의 유명 장면을 활용해 회상하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마커스는 최근 X(구 트위터)에 “자신에 대한 허구의 전설을 만들어보라”는 내용의 트윗을 게재했고, 이에 한 이용자가 ‘더도지코인(TheDogecoin)’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더(The)’를 뺀 것에 대한 농담을 덧붙였다. 이는 영화에서 숀 파커(Sean Parker)가 마크 저커버그에게 “더 페이스북(The Facebook)의 이름에서 ‘더’를 빼라”는 유명한 장면을 풍자한 것이다.

마커스는 그에 대한 GIF 이미지로 “나도 기억난다. 고마워”라는 짧은 메시지를 남기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온라인에서 ‘시베토시 나카모토(Shibetoshi Nakamoto)’라는 페르소나로 활동하며, 유머와 직설적인 언행으로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 활동은 도지코인의 장난스러운 이미지와 맞물려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마커스는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냈다. 지난 7월 18일, 비트코인(BTC) 가격이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까지 치솟자, 그는 “이럴 땐 Zillow(미국 부동산 플랫폼) 웹사이트를 열지 마라, 암호화폐 시장이 망가질 수 있다”라는 경고를 남겼다. 이 발언은 부동산과 암호화폐 시장의 역상관 관계에 대한 전문가들의 해석을 반영하고 있다. 과거 일부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과 암호화폐 시세가 반비례한 흐름을 보여주었던 것이 그 배경이다.

마커스는 매크로 경제 요소보다 암호화폐 시장의 ‘혼돈 속 논리’를 더욱 신뢰한다고 전하며, 시장의 복잡한 생태계를 강조했다. 도지코인은 장난기 넘치는 밈(meme) 코인으로 시작했으나, 이제 실질적 가치와 방대한 유저층을 확보한 대형 프로젝트로 자리 잡았다. 그의 리트윗과 경고는 여전히 이 시장이 기술, 유머, 예측 불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음을 한층 더 부각시킨다. 이러한 언급들은 도지코인의 의미와 그 가치가 단순한 유머를 넘어서 진중함을 회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