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의 언스테이킹 대기열이 13일에 이르러 역사상 가장 긴 기록을 세웠다. 현재 73만3,000 ETH(약 3조 8,308억 원)가 출금을 기다리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더리움을 다루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는 100만 명 이상의 활성 검증인이 활동하고 있으며, 전체 공급량의 약 30%인 3,560만 ETH(약 186조 2,560억 원)가 스테이킹된 상태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참여자가 발생함에 따라 스테이킹 보상률은 하락하여, 현재 연간 수익률(APR)이 2.97%에 불과하다.
이러한 언스테이킹 붐의 배경에는 기관 투자자와 벤처 캐피탈의 참여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ARK 인베스트의 CEO인 캐시 우드는 이더리움 언스테이킹의 급증 원인을 개인 투자자보다 기업의 재무팀과 VC에 있다고 밝히며, 이들이 락업 해제를 기다려 이더리움을 디지털 자산 재무상품(DAT)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로빈후드 플랫폼이 제공하는 2% 암호화폐 이전 보너스 역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보너스는 특히 골드 등급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작은 인센티브가 대규모 유동성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더욱이, 금융 기관들은 이제 이더리움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접근하고 있다. 샤프링크 게이밍(SBET)과 비트마인 이머전스(BMNR)와 같은 신규 디지털 자산 기업들은 이더리움 재단보다 더 많은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조셉 루빈과 톰 리의 지원을 받아 주식을 스테이킹하거나 디파이 대출 및 파생상품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재편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자산 재무(DAT) 구조의 혁신을 통해 투자자들이 중개기관 없이도 디지털 지갑에서 직접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팔콘X의 매트 셰필드는 “공공 시장의 자본 효율성이 디파이에 통합되고 있다”고 전하며, DAT의 잠재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반면, ARK 인베스트는 최근 코인베이스($COIN) 주식 약 1,200만 달러(약 167억 원)를 매각하며 블록($SQ)과 로블록스($RBLX) 등 보유량을 줄이는 등의 반등 단계를 보이고 있다. 대신 테슬라($TSLA)와 이리듐 커뮤니케이션즈($IRDM)로의 포트폴리오 재편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이더리움의 언스테이킹 급증은 단순한 현상을 넘어, 제도권 금융과 블록체인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더리움이 더 이상 블록체인 자산에 한정되지 않고 전통 금융과의 연계를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의 변화 가능성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결국, 이더리움은 체계적인 장기적 변화의 초석이 될 것이며, 그 경과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