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프로젝트 리브라(LIBRA)의 대표인 헤이든 데이비스(Hayden Davis)가 해당 프로젝트를 둘러싼 법적 공방에서 놀라운 주장을 펼쳤다. 그는 미국 법정에서 리브라가 실질적인 투자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단순한 밈코인에 불과하다고 밝혀 충격을 주었다. 이러한 발언은 현재 3억 9,000만 달러(약 3,891억 원)의 리브라 자산이 동결된 가운데 이루어져 큰 파장을 일으켰다.
데이비스는 리브라가 투자자에게 수익을 제공할 구조나 구체적인 사용 계획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며, 이 프로젝트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하는 발언을 했다. 개인 투자자 오마 하록(Omar Hurlock)이 제기한 사기 혐의에 대해 데이비스 측은 “명확한 사업 계획이 없기 때문에 이를 투자로 간주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하록 측은 데이비스와 공동 창립자 벤자민 초우(Benjamin Chow)에 대한 정식 조사를 요구했으나, 뉴욕 남부지방법원의 제니퍼 로숀(Jennifer L. Rochon) 판사는 이를 기각했다.
이번 사건의 발단은 지난 1월 30일 데이비스가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Javier Milei)와의 회동 이후 리브라 관련 지갑에서 50만 달러(약 6억 9,500만 원)가 이동한 정황이 드러난 것에서 시작되었다. 미국 수사당국은 이 사안을 면밀히 조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2억 8,000만 달러(약 3,892억 원)의 자산이 동결된 상태이다.
더욱이 데이비스 측은 “구매자에게 제공한 인프라, 자금 활용 계획, 토크노믹스 구조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었다”며, “밈코인은 본질적으로 가치가 없는 디지털 자산으로, 투자 수단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판단과 규제의 향후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리브라 사태의 향후 전개는 오는 8월 19일 뉴욕 법원에서 열리는 다음 심리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이번 판결은 리브라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유사한 밈코인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새로운 법적 기준을 정립하게 될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밈코인 사기’에 대한 경계가 한층 강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