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미니의 공동 창립자 타일러 윙클보스가 JP모건을 강하게 비난하며, 최근 이 은행이 암호화폐 산업을 억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제미니의 은행 접근을 차단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JP모건이 소비자에게 보장된 ‘오픈 뱅킹’ 규정을 무시하고 있으며, 은행 데이터 독점을 통해 핀테크와 암호화폐 기업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윙클보스는 자신의 SNS를 통해 JP모건이 데이터 사용료 부과 정책을 시행키 위해 시행할 수 있는 의도가 핀테크 및 암호화폐 기업들의 파산 위험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JP모건이 제미니의 고객 재등록 절차를 일시 중단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를 암호화폐 친화적인 제미니에 대한 보복으로 해석했다. 이러한 조치는 단순한 기업 간의 갈등을 넘어서 금융 데이터의 주권과 기술 혁신의 미래에 관한 더 깊은 대립으로 이해되고 있다.
현재, 미국 시장에서는 Plaid와 같은 핀테크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은행 계좌를 여러 암호화폐 플랫폼과 무료로 연결할 수 있지만, 대형 은행들이 이를 유료화하려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의 사용 확대를 위한 중요한 연결 구조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크라켄의 공동 CEO 아르준 세티도 비슷한 우려를 표명하며, 사용자 데이터가 수익화의 대상으로 고립될 경우 전체 생태계의 혁신이 저해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픈 뱅킹”이란 소비자가 자신의 금융 데이터를 제3자 앱으로 보다 자유롭게 이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규정으로, 윙클보스는 JP모건이 이를 법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정책을 전통 은행들이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혁신 억제책으로 규정했다.
이번 논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암호화폐 진흥 정책과도 연관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윙클보스는 이러한 독점적 조치가 미국의 글로벌 암호화폐 리더십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개입을 촉구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많은 사용자들이 대형 은행에 대한 비판을 늘리고, 이러한 행위가 고객이 자신의 금융 자산을 스스로 조절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결과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많은 사용자들이 암호화폐 기업들이 은행의 인가를 필요한 상황이 지속되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이는 건전한 금융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암호화폐 친화적인 규제 환경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미국이 이 과정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타일러 윙클보스는 “우리는 핀테크와 암호화폐 산업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금융 혁신의 흐름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