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갤럭시디지털을 통해 매각된 8만 개의 비트코인(BTC)이 2011년 해킹 피해 자산과 관련된 의혹을 받고 있어 암호화폐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현재 이 비트코인의 가치는 약 1조 890억 원에 이르며, 이는 초기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건의 피해자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크립토퀀트의 최고경영자 주기영은 이 비트코인이 마이비트코인(MyBitcoin) 거래소 해킹 사건에서 유출된 자산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주기영은 X(구 트위터)를 통해 “해당 자산은 2011년 4월 이후 완전히 비활성화돼 있었고, 이는 마이비트코인 해킹 직전 시점과 일치한다”고 주장하며 의혹의 근거를 제시했다. 실제로 이 비트코인이 보관된 지갑은 무려 14년 동안 어떠한 거래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마이비트코인은 캐나다 해커 그룹 해크 캐나다의 공격을 받아 약 7만 2,0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1억 원에 해당하는 고객 자산을 도난당한 뒤 폐쇄됐다. 이후 운영자 톰 윌리엄스는 해킹 사건 발생 한 달 후 피해 복구 절차에 착수한다고 발표했으나 그 이후로 그의 행방은 묘연한 상태다.
이처럼 장기간 활성화되지 않았던 비트코인이 갑자기 시장에서 매각되면서 익명의 해커 또는 실종된 운영자가 다시 등장했을 가능성에 대한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특히, 해킹 당시 비트코인의 시가 기준으로 현재 수익률이 약 13만 배에 달함은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갤럭시디지털 측은 해당 비트코인 매도 거래에 대해 “사토시 시대에 매입한 초기 투자자의 유산 정리 차원”이라고 해명했지만, 지갑의 출처와 진짜 소유자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다. 이와 관련해 주기영은 “갤럭시디지털이 포렌식 분석 없이 거래를 성사시켰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라고 경고했다.
한편, 이번 대규모 매도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BTC) 가격은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보도 당시 비트코인은 1BTC당 11만 7,686달러, 약 1억 6,345만 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전날 대비 1.2% 상승한 수치이다. 시장의 총 시가총액도 2조 3,500억 달러, 즉 약 3,266조 5,000억 원에 육박하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초기 거래소의 보안 문제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장기 보유 자산이 향후 시장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을 재조명하게 만든 계기이다. 특히, 블록체인의 온체인 추적이 가능하더라도 주체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