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더리움(ETH) 시장에서 급증한 언스테이킹(unstaking) 활동이 주요 화제가 되고 있다.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의 브렛 윈튼(Brett Winton) 최고 미래 전략가는 ‘대기열 시간(Queue Wait Time)’ 차트를 통해 많은 사용자가 스테이킹을 철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아크 인베스트의 최고경영자 캐시 우드(Cathie Wood)는 이러한 현상이 로빈후드(Robinhood)에 의해 제공되는 인센티브와 디지털 자산 재무회사(DATs)로의 자금 이동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서 기인했다고 분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로빈후드의 가상자산 이관 보너스 정책이다. 최근 로빈후드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을 포함한 여러 암호화폐를 자신의 지갑으로 이전하는 사용자에게 2%의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케팅 전략은 사용자들의 플랫폼 이탈을 줄이는 데 효과를 거두었으며, 이로 인해 일반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언스테이킹한 후 로빈후드로 이전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같은 증가세는 단기적인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전략 변화로 해석될 여지가 크다. 캐시 우드는 최근 기관 투자자와 벤처캐피털이 스테이킹된 ETH를 DATs로 옮기는 추세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ATs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와 같이 암호화폐를 기업 재무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기업들이며, 이들은 전통 증시에 상장되어 있으면서도 암호화폐 기반의 재무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현재 비트코인을 60만 7,770개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713억 5,000만 달러에 해당한다. 모든 상장 기업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합칠 경우 약 89만 7,086개로, 총 가치는 1,050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다. 이처럼 많은 기관 투자자들은 이더리움을 DATs에 보관함으로써 암호화폐 직접 보유로 인한 규제 리스크를 회피하고, 주식 가치 상승에 따른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전통 금융 자문가들 또한 DATs를 매력적인 대안으로 보고 있다. 현재 규제 당국의 제약으로 인해 고객들에게 직접적인 암호화폐 노출을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DATs의 주식을 구매하면 간접적으로 암호화폐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 중장기적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전통 금융기관들에게 유효한 전략적 선택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근 이더리움 언스테이킹 붐은 단순한 보상 효과를 넘어, 제도권 자본의 전략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리테일 투자자부터 전통 금융기관까지, 시장의 다양한 참여자들이 로빈후드와 DATs라는 새로운 경로를 통해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을 세분화하고 있는 현상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이더리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