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의 선물 상품에 대한 투자 열기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가격 상승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글로벌 파생상품 거래소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기준 이더리움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78억 5천만 달러(약 1조 898억 원)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다. 미결제약정은 아직 청산되지 않은 선물 계약의 전체 수를 의미하며, 이는 활발한 투자자 참여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작용한다. 특히 이번 기록은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애널리스트 마르툰(Maartunn)이 공개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더불어 이더리움의 시장 점유율은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으며, 2023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오픈이자금 우세율을 기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이더리움 중심으로 쏠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한때 비트코인(BTC)보다 낮았던 이더리움의 영구 거래(perpetuals) 기반 거래량이 최근 처음으로 비트코인을 초과하며 강세 흐름을 입증하였다.
또한 시장 전반의 레버리지 활용도 급증하고 있다.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솔라나(SOL), XRP, 도지코인(DOGE) 등 주요 알트코인 선물 포지션의 총 미결제약정 규모는 260억 달러(약 36조 1,400억 원)에서 440억 달러(약 61조 1,600억 원)로 급증하였다. 이는 지난 7월 초 이후 불과 한 달도 되지 않아 약 70% 성장한 수치로, 투자자들이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처럼 과도한 레버리지는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극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도 잇따르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은 3,743달러(약 520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주요 저항선들을 돌파한 상태이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글래스노드(Glassnode)는 ETH의 향후 상승 여력을 분석하며, ‘실현 가격의 +1 표준편차 지점’인 4,500달러(약 625만 원)를 주목해야 할 주요 가격대라고 지목하였다. 이 가격대는 과거 2024년 3월과 2021년 불장 당시에도 주요 저항선으로 작용했던 전례가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더리움이 이 가격대를 돌파하게 된다면 2021년 11월의 사상 최고가인 4,891달러(약 679만 원) 기록을 향한 본격적인 시도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상승 신호와 함께 현물 시장에서도 구조적인 강세 흐름이 지속될지 주목된다. 특히 이더리움의 선물 미결제약정 증가와 가격 상승 기대감은 앞으로의 시장 환경을 더욱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이유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