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BTC) 정책이 국제통화기금(IMF)과의 갈등 속에서 심각한 의문에 직면하고 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매일 비트코인을 지속적으로 매입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IMF 측은 실제로는 매입이 아닌 내부 지갑 간의 이동일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한 엘살바도르의 정책 방향이 흔들리고 있으며, 국민들이 체감하는 혜택 또한 미미하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오피스는 지난 24일(현지시간) 8BTC를 추가 구매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약 94만 8,000달러, 즉 약 13억 1,272만 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전체 보유량은 6,249BTC를 넘어섰다. 정부는 일일 구매 원칙을 지키고 있으며, 보유 자산 총액은 7억 3,800만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IMF는 이와 관련하여 실제 매입이 이뤄졌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해당 금액은 단순히 내부 지갑 간의 ‘이동’일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현지에서 비트코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엘살바도르 동부의 산악도시 베를린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커피 거래 등에 비트코인을 활용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사용률은 저조하다. 2024년 IMF와 체결된 재정 안정 협정 이후, 정부 차원의 교육이나 비트코인 보급 활동은 사실상 중단됐다. 국제 NGO인 ‘마이 퍼스트 비트코인(My First Bitcoin)’의 퀜틴 에런만은 “현재 이 정책의 혜택을 받는 것은 일반 시민이 아닌 정부가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런 혼란은 국민들의 신뢰를 크게 약화시켰다. 최근 2024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엘살바도르 국민의 80%가 비트코인 정책이 자신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현장 전문가인 존 데니히는 “지갑 내에서의 이동이 외관상 매입처럼 보이게 하는 것은 왜곡된 현실”이라고 평가했으며, IMF 역시 공식 지갑 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가 불확실하다고 경고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IMF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도 비트코인 정책의 장기적 유효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로 드러나는 성과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일부에서는 일일 1BTC 전송이 지속되고 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구매가 아닌 단순 이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보유 전략의 수익성이 거의 한계에 다다랐다고 지적하며, 신규 매수자들에게 더 이상 매력적인 접근이 아닐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결국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실험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치적 목적과 국민의 복리 간의 균형이 큰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의 논란은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정책이 향후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를 두고 많은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