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남과 전북에서 화학안전 시민학교 시범 운영

[email protected]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화학안전 시민학교’를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화학사고에 대한 위험 대비 및 화학안전의 이해를 증진하고, 지역사회의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기획되었다.

환경부는 8월 말부터 한 달간 진행될 시민학교에 대해 “지역 내 화학안전 역량 강화를 위해 시민과 함께하는 화학안전 시민학교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무료로 교육생을 모집하며, 모집 기간은 7월 28일부터 시작된다.

이번 시민학교는 화학물질안전원과 올해 2월 발족한 시민사회 네트워크가 협력해 마련하였다. 안전원 측은 전남과 전북에서 시민사회단체와 지자체 간의 협력 관계가 활발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지역을 시범 운영 지역으로 선정했다. 향후 안전원은 이 교육과정을 표준화하여 다른 지역으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교육 과정은 총 11강이며, 20시간의 수업으로 구성된다. 전남과 전북에서 약 100명을 모집할 예정으로, 교육 내용은 생활 속 화학물질 안전에 대한 기초 지식부터 대피 요령, 그리고 협치를 통한 거버넌스의 중요성까지 포함된다. 이 과정은 이론, 실습, 토론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번 시민학교의 시범운영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화학안전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고, 지방정부의 화학안전 정책 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의 특성과 요구에 맞춘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전국적으로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과 정보 접근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이번 시범 운영이 지역사회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화학안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화학사고에 맞설 수 있는 방안을 스스로 찾는 기회가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