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ON, 연 9% 이상의 펀딩비 수익…GLM 등 알트코인 전략 주목

[email protected]



무기한 선물 거래에서 가격 차이는 투자 심리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가격 유명 조정 메커니즘으로 펀딩비가 주목받고 있다.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을 경우 롱 포지션을 취한 투자자가 숏 포지션을 취한 투자자에게 펀딩비를 지급하게 되며, 반대로 선물 가격이 낮을 경우 그 반대의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구조를 활용하여 투자자는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 포지션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헷지하며 펀딩비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맥시플러스를 통해 7월 27일 21시 45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Newton Protocol(NEWT)이 펀딩비 측면에서 가장 높은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종목으로 선정됐다. Bybit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보유하고 Gate.io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가진 전략을 따르면 NEWT 종목에서 -7.53%의 펀딩비가 적용되어 연환산 수익률이 7.53%에 달하며, 이를 통해 연간 약 37,598.97달러의 수익이 가능하게 됐다.

또한, Gate.io의 선물 롱 포지션과 Bitget의 현물 숏 포지션을 병행하는 전략은 연환산 수익률이 9.23%에 달하고, 예상 연간 수익은 약 46,099.04달러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익률은 Gate.io와 자체 현물 거래쌍을 활용할 때에도 유사한 성과를 기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Golem(GLM)의 경우도 주목할 만하다. OKX 선물 시장의 롱 포지션과 Bitget 또는 Binance 현물 시장의 숏 포지션을 동시에 활용한 결과, 연환산 수익률이 6.85%로, 연간 수익 예상치는 약 34,2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 전략은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현물 시장에서는 가격 변동성을 헷지하기 위한 숏 포지션을 구사하는 방식이다. 음수 펀딩비 조건에서는 선물 시장에서 펀딩비를 수령하고, 현물 시장에서 매도 포지션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마진 거래에는 이자와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실제 수익률 계산이 중요하다. 특히, 짧은 보유 기간으로도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종목은 전략 실행에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펀딩비가 높은지 낮은지는 트레이더들이 롱 또는 숏 포지션을 얼마나 선호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펀딩비가 높을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비싸지는 경향이 있다.

최고 펀딩비 종목으로는 Gate.io의 HSK/USDT(5.59%), Bitget의 CROSS/USDT(2.00%), Bybit의 XEM/USDT(1.97%), Gate.io의 WEMIX/USDT(1.70%), Bitget의 FRAG/USDT(1.52%) 등이 있으며, 반대로 최저 펀딩비 종목은 Bitget의 FRAG/USDT(1.52%), Gate.io의 WEMIX/USDT(1.70%), Bybit의 XEM/USDT(1.97%), Bitget의 CROSS/USDT(2.00%), Gate.io의 HSK/USDT(5.59%)로 확인됐다.

펀딩비 차익 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를 고려한 세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