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예상되는 암호화폐 상승 장세를 준비하며 투자자들은 저평가된 소형 알트코인을 발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와 아발란체(Avalanche) 블록체인에서 주목할 만한 두 개의 디파이(DeFi) 토큰인 ‘에어로드롬(Aerodrome)’과 ‘블랙홀(BlackHole)’이 차세대 디파이 활황장을 이끌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먼저 에어로드롬은 이더리움 기반의 베이스 체인에서 운영되는 디파이 프로토콜로, 현재 총 예치금(TVL) 규모에서는 큰 규모가 아니지만 수익성과 수수료 발생 측면에서는 베이스 생태계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스테이블코인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에어로드롬의 수익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경쟁 프로토콜인 모르포(Morpho)와 스파크(Spark)를 크게 앞서는 실적이다.
기술적인 관점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된다. 에어로드롬의 토큰 가격은 지난 3월 이후로 횡보를 이어오고 있으며, 이는 저점 근처에서 재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는 상황이라면, 에어로드롬 역시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언급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아발란체 체인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블랙홀이라는 신생 디파이 토큰이다. 블랙홀은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총 예치금이 2억 달러(약 2,780억 원)를 초과하며, 수수료 수익도 1억 달러(약 1,390억 원)에 달해 아발란체 내 기존 주요 디파이 프로토콜을 뛰어넘고 있다. 특히 블랙홀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체인 간 브릿지 인프라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여러 블록체인 간 원활하게 토큰을 이동할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디파이 사용자 유입을 증가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향후 아발란체가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루머가 돌고 있어 블랙홀의 기술이 핵심 인프라로 재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최근 몇 주 동안 블랙홀의 누적 거래량은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를 넘었으며, 활성 사용자 수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블랙홀이 차세대 블록체인 생태계의 리더로 부상할 수 있는 조건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러나 에어로드롬과 블랙홀과 같은 저평가된 소형 알트코인들은 기술력과 수익성을 동시에 갖추며 조용히 강세장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5년 본격적인 황소장이 찾아올 경우,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폭발적인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투자자들의 조기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