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정상, 트럼프와의 비공식적 소통 통해 외교 성과 개선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식 외교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개인 휴대폰을 통해 여러 나라의 정상들과 통화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유력 정치전문 매체인 폴리티코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이 소식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외교보다 개인적인 관계 구축을 통해 더욱 유리한 외교적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는 정상들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이 포함된다.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것도 있지만, 비공식적 당담이나 개인적인 대화도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이는 그의 즉흥적인 스타일과 일맥상통하며, 국제 사회에서 더 많은 지도자들과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마크롱 대통령과의 통화는 두 정상 간의 유머러스한 상호작용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크롱 대통령의 이름을 가지고 농담을 주고받는 방식이 인상적이었다”며, 두 사람 간의 편안함과 유대감을 강조했다. 이러한 친밀감은 국제적 협력과 마찰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유럽의 한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비공식적 접근 방식이 많은 지도자들이 그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게 만들었고, 그 결과 협력이 더욱 활발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캐나다의 케빈 크레이머 상원 의원은 마크 카니 총리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자고 촉구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실제 스타머 총리는 지난 3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백악관 회동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트럼프 대통령에게 메신저 앱인 왓츠앱을 통해 직접 메시지를 보냈다. 또한, 그는 지난해 축구 경기 도중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를 통해 관세 인하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비공식적인 소통은 각국 정상들이 그와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자 다양한 방식을 통해 호감을 사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정상들은 이러한 비공식적인 소통이 개인적인 관계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반대되는 의견을 내는 몇 안 되는 정상 중 한 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편안함이 생겼고, 덕분에 좀 더 솔직하게 의견을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 애나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도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정상들과의 관계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단 6개월 만에 23차례의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임자들과 비교해 개인적 관계를 중시하는 외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는 개인적인 접촉을 통해 외교적 딜을 성사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국제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