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단기 투자자 수익률 13%로 감소… 시장 열기 한풀 꺾이나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사상 최고치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비트코인을 매입한 단기 보유자들의 평균 수익률이 13%로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과는 대조적으로 수익률이 크게 줄어든 이 현상은 시장의 열기가 점차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지난 1~3개월 사이에 비트코인을 구매한 지갑들의 평균 미실현 수익률이 현재 13%까지 하락했다. 이러한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단기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과거의 상승 사이클에서는 최대 232%(2012년)나 150%(2021년)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사이클에서는 최대 수익률이 69%에 그쳤고, 그 이후에는 계속해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의 평균 실현가는 약 10만 4,000달러(약 1억 4,456만 원)로, 이 가격대에서 단기 매수세가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비트코인의 최고점 부근에서 매입한 투자자들은 가격이 하락할 경우 손실을 입기 쉬우며, 이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현재까지는 대규모 매도 징후는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손실이 커질 경우 항복 매도(capitulation)의 우려도 제기될 수 있다.

크립토퀀트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과거에도 비슷한 매도 압박이 단기 저점을 형성하며 새로운 매수 기회를 제공한 사례가 많다”고 분석했다. 만약 단기 보유자의 물량이 시장에 쏟아질 경우 단기적으로 가격 조정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를 위한 조정 국면일 가능성이 크다.

기관 투자자들도 당분간에 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암호화폐 금융사 매트릭스포트(Matrixport)는 “이번 주는 미국 기업들의 실적 발표, 백악관의 암호화폐 관련 보고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등 여러 중대한 이벤트가 있어 단기적인 관망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8월과 9월은 과거 비트코인의 평균 수익률이 가장 낮았던 기간으로, 계절적인 요인도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8월은 지난 10년간 단 세 번만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은 수익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가격이 박스권 내에서 움직일 가능성을 높인다.

그러나 연말로 갈수록 상승세가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 또한 존재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의 조정이 장기 랠리 전의 숨 고르기 단계일 뿐이며, 여전히 긍정적인 펀더멘털과 기관 자금 유입의 흐름이 유효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