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회원국 외교장관들이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인 해결책으로 제안된 ‘2국가 해법’의 실행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가 28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공동 주최로 열렸다. 이번 회의의 주요 목표는 이스라엘의 안보를 보장하고 팔레스타인의 독립 주권국가 수립을 위한 로드맵의 기본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랑스 외무부 장관인 장 노엘 바로는 회의에서 “정치적 해법인 2국가 해법만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평화와 안정 속에 살고자 하는 열망에 부응할 수 있다”며 “다른 대안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위한 국제적인 지지와 유엔의 역할 필요성을 공론화하는 자리였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24일, 다음 달 열리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할 것이며, 국제 사회의 동참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사우디 외무부 장관인 파이살 빈 파르한 알사우드는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관계 정상화는 오직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며, 이를 강조했다.
한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무함마드 무스타파 총리는 “모든 국가는 지금 행동할 책임이 있으며,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위한 국제 군의 파견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또한, 하마스에 대해서는 “가자지구의 통치를 끝내고 무기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넘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의 서안지구에 대한 점진적 병합은 불법이며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2국가 해법은 국제법에 뿌리내리고 있으며, 유엔총회에서 승인받은 유일한 틀”이라며 이 해법 실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번 회의에 참석하지 않으며 2국가 해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미국의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이번 회의는 평화의 촉진보다 전쟁을 연장하고 있으며, 하마스를 고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스라엘의 대니 다논 유엔 주재 대사도 회의에 대한 비판을 하며 “인질 석방을 요구하는 대신 회의 참가자들이 현실과 어긋난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2국가 해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미국과 이스라엘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어 팔레스타인 문제의 해결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 사회의 지지와 조율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