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닷컴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초기 비트코인 대안으로 주목받았던 라이트코인(LTC)과 도지코인(DOGE)은 서로 다른 발전 전략과 활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두 암호화폐는 Scrypt 기반의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 메커니즘을 공유하지만, 라이트코인은 효율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반면, 도지코인은 강력한 커뮤니티와 밈 문화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의 은으로 불리며, 2011년에 낮은 거래 수수료와 빠른 송금을 목표로 출시되었다. 창립자 찰리 리는 ASIC 채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Scrypt 해싱 알고리즘을 도입했지만, 2014년 이후 ASIC 채굴기가 도입되면서 그 저항력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트코인은 네트워크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진화를 이뤄냈다. 특히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Mimblewimble 기반의 MWEB 업그레이드, 그리고 NFT와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는 OmniLite 프로토콜 등이 그것이다. 2024년 현재, LTC는 약 7,500만 개가 유통 중이며, 총 공급량은 8,4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어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반해 도지코인은 2013년에 라이트코인의 포크로 시작된 밈 기반 자산으로,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의 힘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매일 착한 일 하기’라는 슬로건과 바이럴 문화 덕분에 DOGE는 팁핑과 결제와 같은 단순한 유즈케이스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다. 크립토닷컴의 보고서에 따르면 도지코인은 제한 없는 공급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매분마다 1만 개의 DOGE가 발행된다. 이는 지속적인 유동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플레이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두 토큰은 같은 해시 알고리즘 덕분에 병합 채굴을 통해 생존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2014년 라이트코인의 제안으로 시작된 병합 채굴은 도지코인의 해시레이트를 강화하고 51% 공격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를 통해 채굴자는 한 번의 채굴 작업으로 두 네트워크에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토크노믹스 측면에서도 두 자산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라이트코인은 정기적인 반감기를 통해 공급량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인 반면, 도지코인은 고정된 블록 보상을 유지하여 새로운 유통량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라이트코인이 자산 가치 저장 수단으로 희소성을 중시하는 반면, 도지코인은 대중적인 유통과 일상 결제를 위한 접근성을 중심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면, 라이트코인은 Travala와 RE/MAX를 포함하여 4,000개 이상의 글로벌 판매자가 채택하고 있으며, 도지코인은 Tesla, Microsoft와 AMC 등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두 자산이 각각 신뢰성과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시가총액과 시장 반응에도 뚜렷한 차이가 있다. 라이트코인은 약 52억 달러 규모로 시장에서 20위에 있지만, 도지코인은 206억 달러로 높은 시가총액을 자랑하며 8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커뮤니티 규모 면에서 도지코인은 X 플랫폼에서 400만 명, 레딧에서는 25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어 가장 강력한 팬덤 중 하나로 손꼽히며, 크립토닷컴은 도지코인을 단순한 밈 코인을 넘어 사회적 참여를 이끄는 디지털 자산으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