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니아(Linea)는 새로운 토큰 발행 및 에어드롭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더리움(ETH) 소각을 주요 설계 요소로 포함하겠다고 밝혔다. 이렇듯 리니아는 레이어1 이더리움 네트워크와의 경제적 정렬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ETH 자본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이번 발표는 여러 레이어2 네트워크가 이더리움 메인넷의 수수료 수익과 사용자 활동을 점차 잠식하고 있다는 우려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인지한 리니아는 생태계 이익을 극대화하는 메커니즘을 강화하고, 상반기 내에 예정된 토큰 발행 이벤트에서는 전체 공급량의 85%가 생태계에 배분될 예정이다. 나머지 15%는 콘센시스의 트레저리로 5년 간 락업 조건이 붙는다.
정확한 토큰 발행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글로벌 제품 리드인 디클란 폭스(Declan Fox)는 에어드롭 기준을 최대 일주일 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10월 출시될 스테이킹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ETH를 리니아 네트워크로 이동시킬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브리지된 이더는 디파이(DeFi) 활동에 활용되어, 생산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ETH의 거래량과 예치 자금 증가로 이어지는 유입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콘센시스 CEO인 조셉 루빈(Joseph Lubin)은 리니아가 기술적으로 완벽하게 이더리움과 호환되는 유일한 레이어2 네트워크라고 강조하며, 이 같은 경제 모델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스테이킹 보상은 리니아 내 디파이 프로토콜에 분배되어 유동성 공급자들에게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리니아는 L2 솔루션 중 최초로 이더 소각을 공식화했다. 전체 트랜잭션 수수료의 20%는 이더리움 소각에 사용될 예정이며, 나머지 80%는 리니아의 자체 토큰 소각에 사용되어 공급량을 억제하는 디플레이션 구조를 만들 예정이다.
현재 리니아의 L2 시장 점유율은 1.23%이며, 온체인 자산은 약 5억 1,300만 달러(한화 약 7,128억 원)에 달한다. 폭스는 앞으로 ETH 수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리니아 메인넷을 ETH 자본에 최적화된 체인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리니아가 ETH 유동성을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리스크 대비 최적의 수익률을 제공할 것임을 분명히 하였고, 이로써 시장 점유율을 확장할 자신감을 표출했다.
콘센시스의 생태계와 메타마스크(MetaMask)의 사용자 유입 능력은 사용자 및 개발자의 진입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리니아 네트워크가 차세대 디지털 자산 플랫폼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