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스테이블코인 규제 내달 시행…첫 라이선스는 2026년 발급 예정

[email protected]



홍콩 금융당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무리하고, 오는 8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업계에서 오랫동안 기다려온 라이선스 발급은 당초 계획보다 지체되어 2026년 초로 연기됐다. 당국은 이러한 결정에 대해 과도한 시장 기대감과 사기 리스크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며, 암호화폐 산업의 점진적 디지털 전환을 강조하고 있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7월 29일 스테이블코인 관련 최종 규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법제화가 8월 1일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첫 번째 라이선스는 2026년 초로 미뤄졌으며, 이와 관련된 신청은 오는 9월 30일까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번 규제안은 매우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지급 준비금 관리, 발행 및 환매 기준, 위험 관리, 기업 운영 기준 등 다양한 측면이 포함되며, 특히 자금세탁방지(AML)와 테러자금차단(CTF) 요건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는 조건이 내세워졌다. 또한, HKMA는 정식 등록된 스테이블코인 허가 기업의 목록을 공개하는 공공 등록부를 운영할 계획이다.

HKMA는 설명회에서 홍콩의 규제 기반이 이미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의 스테이블코인 대규모 도입은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신 점진적인 디지털 전환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의도를 밝혔다. 이러한 방향성은 홍콩이 세계 주요 금융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선도적 조치로 해석된다.

한편, 당국은 사칭 및 허위 정보에 대한 경고를 강화하고, 현재까지 라이선스가 발급된 기업이 없는 점을 명확히 했다. 허위 정보로 인해 투자자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는 행동에 대해서도 엄중히 경계해야 한다고 전했다. 특히 일부 기업이 “신청 중”이라는 명분으로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강력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 또한 HKMA의 주요 우려 사항으로 지적됐다. 에디 웨 청 총재는 최근의 급격한 거래량 증가와 일부 암호화폐 주식의 폭등이 과장된 분위기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홍콩이 디지털 자산 규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위치를 다지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크게 보면, 급속한 규제 도입보다는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기반 구축을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신뢰를 쌓으려는 방향성을 엿볼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