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식시장 해설자인 짐 크레이머가 비트코인에 대한 입장을 대대적으로 수정했다. 오랜 기간 암호화폐 비관론자로 알려졌던 그가 이제는 비트코인을 “미국 예산 적자에 대한 헤지 수단”이라고 밝히며, 디지털 자산이 미래의 경제 위기를 피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크레이머는 최근 방송에서 비트코인이 “경제적 고통과 정치적 불안정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안전판”이라고 지적하며, 기존 통화 시스템이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 리스크를 강조했다. 그는 특히 한 근로자가 급여를 전부 비트코인에 투자해 노동 없이도 안정적인 삶을 누리는 사례를 소개하며, 비트코인의 자산 보호 기능에 주목했다. 또한 그는 미국이 과거의 ‘바이마르 공화국’처럼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경험하지 않기 위해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비트코인이 마치 디지털 금처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크레이머의 이전 입장과 크게 대비된다.
이번 크레이머의 발언은 암호화폐 업계 전반에 큰 충격을 안겼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변화된 시각이 최근 미국 기관들의 비트코인 수용 흐름과도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캡의 앤서니 팜플리아노는 인터뷰를 통해 “미국 정부는 곧 비트코인을 매입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크레이머의 발언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를 ‘크레이머 효과’라고 부르며, 그는 과거에 어떤 종목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표명할 경우 해당 자산의 가격이 오히려 하락하는 경우가 잦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최근 하루만에 0.34% 하락하며 11만 8,281.25달러(약 1억 6,454만 원)로 떨어졌고, 최고가인 11만 9,273.87달러(약 1억 6,580만 원)에서 조정 중인 상황이다. 동시에 거래량은 약 678억 달러(약 94조 2,820억 원)로 11.86% 증가하며 활발한 매매가 이어지고 있다.
크레이머의 시각 변화는 단순한 의견 수정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그동안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던 그가 정책적 해지 수단으로서 비트코인을 지지하게 된 것은 금융 권과 일반 투자자들의 인식에도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의 발언이 궁극적으로 경고인지 찬사인지는 향후 시장의 행보가 보여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