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ed, 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32년 만에 반대표… ‘친 트럼프’ 위원들은 금리 인하 주장

[email protected]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경제가 여전히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는 판단 하에 기준금리를 연 4.25~4.5%로 다섯 번째 연속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결정으로, Fed는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와 함께 당분간 관망세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결정에서는 두 명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위위원이 동결에 반대하여 금리 인하를 주장함으로써 Fed 내부의 이견이 드러났다.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와 미셸 보우먼 Fed 부의장은 모두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지지했으며, 이는 1993년 이래로 처음으로 두 명 이상의 위원이 금리 결정에 반대한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번 회의에서 Fed는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강조하며, 실업률은 낮고 노동시장이 견조하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이전보다 더욱 신중해진 경기 인식을 표현하며, 상반기 경제 활동 성장률이 완화되었음을 시사하는 새로운 진단을 내놓았다. Fed는 “경제 활동에 대한 데이터 변동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시장 상황과 물가 상승률 변동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Fed의 금리 동결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가 노골화되면서 이루어졌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Fed 본부를 방문해 제롬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요청했으며, 이는 단순히 지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한 방문이 아니라 금리 인하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의도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이번 반대 의견은 단순한 개인의 의견 차이가 아니라 Fed 내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력이 점차 깊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이미 이번 회의의 금리 동결 가능성을 97%로 보았으며, 고용과 성장률이 견조한 상황을 고려해 Fed가 신중하게 이에 대응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Fed는 앞으로도 노동 시장, 인플레이션 압력, 금융 및 국제 정세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같은 Fed의 결정은 미국 경제와 국제 금융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통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시장의 주목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