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기관 투자 증가의 핵심 요인은 ‘수익 창출 구조’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의 가치가 전통 투자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온 것은 그 투자 구조가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 형태로 재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비트와이즈 자산운용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은 최근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의 이러한 변화가 기관 자본의 유입과 생태계의 확대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호건은 이더리움이 과거 오랜 시간 동안 ‘과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이 전통 금융권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그는 “ETH만 놓고 보면, 가치 저장수단인지, 소각 메커니즘 때문인지, 아니면 스테이킹 수익률 때문인지 명확한 설명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다만,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규모의 ETH를 특정 기업에 넣고 이를 스테이킹하면 실제로 수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투자자들이 익숙한 ‘이익을 내는 기업’ 구조와 유사해진다”고 설명했다.

최근 이더리움에 대한 기관 투자 증가 추세는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이는 2015년 메인넷 출시 이후 이더리움이 단순한 인터넷 문화 소속의 암호화폐에서 벗어나, 제도권에서 인식되는 자산군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는 리스크도 수반된다. 호건은 ETH를 기업 채권 발행이나 주식 유상증자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매입하는 기업들이, 만약 부채 비율 관리와 이자 비용 조정을 소홀히 한다면, 과도한 레버리지와 순환 파산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ETH를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일부만 매입하는 기업에 대해서도 “시간이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즉, “단기 시장 변동성은 목표 기간이 짧은 투자 전략을 심각하게 방해할 수 있다”며, ETH에 기반한 투자 접근은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해야 함을 시사했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의 ‘수익 창출 기업 구조’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주며, 기관 자본의 유입과 생태계 확산을 이끄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잊지 말아야 하며, 장기적인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수적이라는 점은 앞으로의 투자 전략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