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만에 2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대만의 라이칭더 총통은 현재 부과된 세율이 ‘임시 세율’이므로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1일 라이 총통은 자신의 SNS를 통해 “미국이 워싱턴 DC에 있는 대만 협상팀에 대해 20%의 ‘일시적 관세’를 통보했다”고 전하며, 이는 아직 대만과 미국 간의 협상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우선 대만에 20%의 임시 세율을 발표했으며, 추후 합의가 이루어지면 세율이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앞으로 대만과 미국은 공급망 협력 및 미국 무역확장법 제232조 관련 의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대만 측의 협상 전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라이 총통은 대만 협상팀이 네 차례의 실무협상과 여러 차례의 화상 회의를 통해 기술적 협의를 마쳤고, 국가 이익, 산업 안보, 국민 건강 보호, 식량 안보를 위한 네 가지 주요 과제를 지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 발표된 세율은 일시적 조치에 불과하나, 합리적인 수준의 세율을 되찾고 최종 관세 협상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미국 시간으로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했다. 대만에 부과된 관세의 세율은 기존의 32%에서 20%로 하향 조정됐다. 현재 대만 측에서는 정리쥔 부행정원장이 이끌고 있는 협상팀이 미국에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만은 20% 미만의 세율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안은 대만과 미국 간의 경제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로, 후속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라이 총통의 발언은 앞으로의 협상 전략과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