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시장에 재차 나타난 비트피넥스 고래가 하루 최대 300 BTC를 매집하며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블록스트림의 CEO인 아담 백(Adam Back)은 이러한 고래가 시간가중평균가격(TWAP) 전략을 이용해 하루에 1초당 400달러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집계적으로 구매하고 있다고 전했다. 과거에 비트피넥스 고래는 며칠 혹은 몇 주에 걸쳐 하루 최대 1,000 BTC를 매수한 바 있어, 이번에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비트피넥스와 연관된 대규모 매수세는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아담 백은 “이 고래가 돌아왔다”라는 메시지를 비트코인 커뮤니티에 전달하며 경고의 본질을 담고 있다. 고래가 누적 매집을 통해 비트코인 공급을 흡수함으로써 시세를 지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는 강력한 상승 신호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부 투자자들은 이와 같은 흐름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백의 글에 대응한 몇몇 투자자들은 “비트피넥스 고래는 하락장에서 매수하고 상승장에서는 매도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들이 단기적으로는 매물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스마트 머니가 약세장에서 바닥을 잡고 강세장에서는 이익 실현에 나서는 전략을 나타낸다.
아담 백은 단순한 분석가 이상으로, 비트코인의 핵심 요소인 작업증명(PoW) 기반 기술 ‘해시캐시(Hashcash)’의 창시자이자, 사토시 나카모토와 직접 연락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진 사이퍼펑크 운동의 중심 인물이다. 그가 비트코인 시장에서 포착한 흐름은 경계심을 가지고 바라봐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최근 비트코인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 아서 헤이즈는 유동성 악화로 인한 단기 조정을 경고하며 BTC가 조만간 10만 달러를 테스트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비트피넥스 고래의 매집 흐름을 ‘강한 손’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현재 거래소 보유량이 역대 최저 수준에 도달했고, 기관 투자자의 유입 또한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 고래의 반복적인 매수는 가격 반등의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제 이들이 매도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므로, 상승 확신보다는 수급 전쟁의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다.
결국, 고래의 매집 강도가 지속될 것인지, 이들이 실제로 시장 반등을 이끌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시장은 이들의 활동을 주의 깊게 추적하며 다음 큰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