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종목들이 있다. 바로 Status(SNT), JasmyCoin(JASMY), Hyperlane(HYPER) 등이다. 이들 종목은 상대적으로 높은 펀딩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선물과 현물 간 차익 거래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무기한 선물 거래에서 현물과 가격 차이는 투자자의 심리에 따라 발생한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 차이를 조정하며, 선물 가격이 높을 때는 롱 포지션을 보유한 투자자가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하게 된다. 따라서 투자자는 현물 자산을 매수한 후 선물에서 숏 포지션을 통해 자산의 가격 변동성을 헷지하면서 펀딩비를 확보할 수 있다.
8월 3일 기준으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SNT의 경우 게이트아이오에서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비트겟에서 현물 마진 숏 포지션을 취할 경우 약 10.34%의 연간 수익률이 예상된다. 이는 1만 달러를 투자했을 경우 약 51,612달러의 수익을 의미한다. JasmyCoin(JASMY)은 dYdX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설정하고, 여러 거래소에서 현물 숏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연 8.47%의 펀딩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상 수익은 42,268달러에 달한다. 마지막으로 Hyperlane(HYPER)은 바이비트와 여러 거래소에서의 조합을 통해 연 7.60%의 펀딩비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으며, 수익 또한 37,930달러로 산출된다.
이와 같은 펀딩비 차익거래 전략은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특히, 시장의 변동성에 관계없이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전략을 사용할 경우 거래 수수료와 마진 이자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실질적 수익률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최고 펀딩비를 기록하는 종목으로는 Fragmetric(FRAG)와 Zeus Network(ZEUS)가 있으며, 각각 비트겟과 바이비트에서 0.2034%와 0.2213%의 펀딩비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최저 펀딩비를 기록하는 종목들은 시장에서 숏 포지션의 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장기적인 시장 방향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효과적이다. 그러나 각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나 자금비용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거래를 위해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전략 조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