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에서 시행한 관세 전쟁의 여파로, 미국의 평균 유효관세율이 9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게 되었다. 최근 예일대학교 예산연구실(TBL)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평균 유효관세율은 올해 초 2.5%에서 단 7개월 만에 18.3%로 급등했으며, 이는 1934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라고 보도되었다. 이러한 수치는 7월 31일 발표된 교역상대국별 ‘상호 관세’의 도입이 예정된 것까지 반영한 수치이다.
이번 관세 정책의 결과로 미국의 물가 수준은 단기적으로 1.8%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가구당 연간 수입이 약 2400달러 감소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의류와 신발 등의 가격 상승폭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의류와 신발의 97%가 외국에서 수입된 것이며,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이 주요 수출국이다. 관세가 부과되면 신발과 의류의 가격이 각각 40%와 3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도 이들 가격은 각각 19%와 17%가량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부과된 관세 조치가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성장률에 미칠 영향 또한 주목할 만하다. 2025년과 2026년에는 각각 0.5%포인트, 이후 매년 0.4%포인트씩 GDP 성장률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2024년 기준으로 연간 약 1200억 달러의 GDP가 줄어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것으로 분석된다.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외국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미국 내 수입업체들이 관세를 부담하게 되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결국 가격 인상으로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월마트, 프록터앤드갬블, 아디다스, 나이키 등 여러 대기업들이 이미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전문가들은 수입관세가 소비세의 성격을 띠고 있어 저소득층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배리 애플턴 뉴욕법학전문대학원(NYLS) 국제법센터 공동소장은 운동화, 가전제품, 그리고 비디오 게임기 등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트럼프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고통을 줄이려는 국가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승리할 수 있는 나라는 없으며 결국 모두가 패배하고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앨런 울프 피터슨 국제경제학연구소(PIIE) 선임연구원도 최대 승리자는 트럼프라고 평가하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노동통계국장을 갑작스럽게 경질했는데, 이는 노동부에서 발표한 저조한 고용통계가 정치적 목적으로 조작되었다는 그의 입장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고용 통계는 관세 정책으로 제조업을 부흥시키겠다는 공약과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며, 경기가 급속하게 위축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