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퀴드 스테이킹 활동이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해석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암호화폐 업계가 지속적으로 요청해온 규제 명확화의 일환으로, 디지털 자산 시장의 불확실성을 다소 줄이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SEC는 25일(현지시간) 성명서를 통해 “리퀴드 스테이킹 활동은 특정 사실관계와 상황에 따라 증권의 제안 및 판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번 해석은 1933년 증권법(Securities Act of 1933)과 1934년 증권거래법(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에 기반하고 있다.
SEC 산하 기업금융국의 성명서 발표는 “스테이킹 서비스의 증권성”이라는 열띤 논쟁에서 신뢰할 만한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해석에 대해 폴 앳킨스(Paul Atkins) SEC 위원장은 “이번 발표는 리퀴드 스테이킹을 포함한 암호화폐 자산 활동이 SEC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음을 명확히 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공식 입장은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들이 미국 내 법적 불확실성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란 긍정적 전망을 낳고 있다.
하지만, SEC의 성명이 특정한 프로젝트나 기업을 지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검토와 해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SEC 위원장인 게리 갠슬러(Gary Gensler)는 과거 암호화폐 프로젝트 대다수에 대해 증권으로 간주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으며, 이로 인해 코인베이스(Coinbase)와 바이낸스(Binance) 등 주요 거래소와의 규제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해왔다. 그러나 이번 성명은 기존의 강경한 입장에서 일정 부분 유연성을 보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암호화폐 업계의 많은 관계자들은 이번 SEC의 발표가 앞으로 더욱 구체적인 규제 명확화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재집권할 경우 암호화폐 규제의 기조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리퀴드 스테이킹과 관련된 플랫폼들뿐 아니라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암호화폐 규제 환경 속에서 SEC의 이번 발표는 업계에 새로운 희망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