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하웰스(James Howells)는 비트코인(BTC) 8,000개가 저장된 하드드라이브를 실수로 버린 후 12년 동안 이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해왔지만, 최근 결국 수색 작업을 중단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이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한 디파이(DeFi) 토큰을 출시할 계획이다.
하웰스는 지난 10년 이상 영국 뉴포트 시청과 법적 공방을 이어갔고, 드론 조사를 실시하거나 기계팔을 이용해 하드드라이브를 찾기 위한 여러 방법을 시도했다. 그는 심지어 2,500만 영국 파운드(약 462억 원)라는 거액을 제시하며 해당 매립지를 통째로 사들여 하드드라이브를 복구해보려 했으나, 모든 노력은 무산됐다. 이를 계기로 하웰스는 실물 복구가 아니라 블록체인 기반의 스토리 창출에 집중하기로 방향을 전환했다.
그의 새로운 프로젝트는 ‘접근할 수 없는 금고’라는 이름의 NFT 및 디파이 기능을 결합한 토큰으로, 더 이상 찾을 수 없는 코인의 가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하웰스는 “하드드라이브를 다시 꺼내지 못하더라도, 그 이야기는 블록체인 위에서 영속적으로 기억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 토큰의 의의를 강조했다.
하웰스가 비트코인을 채굴한 것은 2013년으로,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1달러도 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이 비트코인의 가치는 약 9억 500만 달러(약 1조 2,584억 원)로 상승했다. 이 사건은 크립토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상기시켜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남았다.
그의 잃어버린 비트코인은 지금까지 주인에게 돌아오지 않았지만, 하웰스는 이를 통해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출발점으로 삼기로 했다. 그는 이번 토큰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 시간과 실패, 기술이 교차하는 상징적 기록으로 남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로써 하웰스는 그의 개인적인 실패를 새로운 블록체인 혁신으로 승화시키려 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