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자금 유출 속에서 메타플래닛 등 기업들이 4,869BTC 직접 매입해 시장 방어벽 구축

[email protected]



최근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이 대량으로 유출되는 상황 속에서, 몇몇 상장기업들이 비트코인을 직접 매입하여 시장의 하락세를 방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8월 초에는 미국 시장에서 현물 비트코인 ETF에서 12억 5,000만 달러(약 1조 7,375억 원)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그러나 동시에 기업 비트코인 보유고를 운영하는 법인들이 약 4,869BTC를 신규로 구매하며 이 중 약 55억 2,000만 달러의 상당액을 시장에서 흡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움직임은 시장 내 유통량 감소를 방지하는 중요한 방어막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장 활발히 비트코인을 매입한 기업은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메타플래닛(Metaplanet)이다. 이 기업은 단일 기관으로서 463BTC를 매입했으며, 이는 당시 비트코인 시세로 계산할 때 약 5,400만 달러(약 750억 원) 규모에 해당한다.

ETF 매도세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상 우려를 반영한 매파적 발언과 예상보다 강세를 보인 거시 경제 지표들이 지목되고 있다. 코인셰어스(CoinShares)의 리서치 총괄 제임스 버터필(James Butterfill)은 이러한 외부 리스크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켰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은 공급 압박보다 수요가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글래스노드(Glassnode)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 초까지 채굴된 비트코인은 98,503BTC에 그쳤다. 반면에, 기업 보유고와 ETF를 통해 이미 52만 4,670BTC가 시장에 흡수됐다. 이것은 채굴량의 5.3배에 달하는 수치로, 남은 채굴 예상량까지 고려하더라도 시장의 비트코인 흡수율이 공급을 3배 이상 초과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일시적으로 4.2% 하락했지만 여전히 역대 최고가인 12만 2,054.86달러와 비교했을 때 7.5% 수준에서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이는 ETF 자금 유출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기업 차원의 강한 매수세가 시장을 지탱하고 있다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현재의 상황은 비트코인 가격이 단기적인 조정을 받는 동안에도 제도권과 기업들이 흡수세력을 형성하고 기존 가격 방어선을 유지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점차 강화되는 공급 측면의 구조적 제약 속에서, 비트코인은 장기적으로 희소 자산으로써의 매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업계의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