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는 최근 관광산업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그린피(Green Fee)’라는 새로운 세금을 도입했다. 이 법안은 기존 숙박세에 추가로 0.75%의 세금을 부과하며, 2026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하와이는 매년 약 1억 달러, 즉 약 1387억 원의 기후대응 예산을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된 재원은 산불 복구, 해안 침식 방지, 산호초 복원 및 자연보호구역 관리 등의 환경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하와이 주지사 조시 그린은 “연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하와이를 방문하면서 자연환경에 상당한 압박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해 기후 재정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하와이주는 이 세금을 숙박 시설뿐만 아니라 단기 임대 숙소 및 크루즈 요금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비슷한 조치는 그리스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그리스 정부는 지난해부터 기존 숙박세를 ‘기후 위기 회복 탄력성 요금(Climate Crisis Resilience Fee)’으로 변경하였으며, 요금은 호텔 등급과 성수기에 따라 다르게 부과된다. 1박당 최소 0.51유로에서 최대 20유로까지 다양하다. 유명 관광지인 미코노스와 산토리니에서는 고액 요금이 적용되고 있다.
발리와 몰디브 역시 기후 관련 세금을 도입하여 관광객에게 추가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발리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1인당 15만 루피아(약 1만2000원)의 ‘환경 기금’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 수익은 환경 보호와 지역 인프라 지원에 사용된다. 또한, 몰디브에서는 2015년부터 ‘그린 택스(Green Tax)’를 도입해 리조트 및 호텔 숙박 시 1인당 1박 기준으로 12달러(약 1만6700원)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는 폐기물 처리 및 해양 오염 방지 같은 환경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세 도입에 있어 ‘과세의 투명성’이 중요하다고 경고한다. 세금이 관광객이 이용하는 자연 자원의 비용을 전가하는 정당성을 갖고 있지만, 실제 활용 내역이 불투명하다면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미 이탈리아 베네치아 등 여러 지역에서 유사한 관광세의 집행 내역이 불투명해 시민단체와 관광업계의 반발을 샀던 사례가 있다. 따라서 투명한 세금 운영과 지역사회와의 협의 구조를 강화하는 것이 이러한 제도의 성공에 핵심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하와이를 비롯한 이러한 조치는 환경 보호를 위한 명분은 확실하지만, 실제 운영 방식에 대한 투명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관광객과 주민 간의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