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내부에서 리퀴드 스테이킹(liquid staking) 가이던스와 관련된 심각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캐롤린 크렌쇼(Commissioner Caroline Crenshaw) SEC 커미셔너는 최근 발행된 해당 가이던스가 시장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명확한 규제 지침을 제공하기보다는 오히려 법적 경계를 흐리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8월 5일 SEC 기업금융국(Corporation Finance Division)이 발표한 설명서는 일부 리퀴드 스테이킹 방식, 특히 증표(token receipts)를 기반으로 한 구조가 증권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는 해석을 담고 있다. 그러나 크렌쇼 커미셔너는 이러한 해석이 여러 가지 전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 시장 참여자들에게 유용한 ‘규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이번 가이던스가 SEC의 공식 견해가 아닌, 개인 의견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주의 경보(warning) 차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크렌쇼 커미셔너는 이러한 지침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는 스테이킹 서비스가 보호의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 경고하며, 이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우려는 리퀴드 스테이킹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에 대한 비판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만다 피셔(Amanda Fischer)는 과거 SEC 수석보좌관으로서 디지털 자산의 예치 및 ‘합성 토큰’을 통한 이익 창출 구조가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와 유사한 방식을 지적하며, 강력한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피셔는 리퀴드 스테이킹이 이론적으로 자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나,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오류, 해킹, 언스테이킹 지연 등 복잡한 위험 요소들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불완전한 규제 환경에서 리퀴드 스테이킹 방식이 확산될 경우, 전반적인 시장에 연쇄 부도 사태를 초래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현재 이번 논란은 이더리움(ETH) 기반 스테이킹 모델과 더욱 확대되는 스테이킹 ETF 허용 논의와 맞물려 진행되고 있다. SEC 내부에서는 규제 명확화를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나, 고위 인사들이 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내면서, 크립토 시장 내 SEC의 신뢰도 역시 또 한 번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SEC의 리퀴드 스테이킹 규제는 현재의 디지털 자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이와 같은 내외부 갈등이 어떻게 해결될지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