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사상 최저치인 0.34달러 기록… 회복 가능성은?

[email protected]



파이코인(PI)이 최근에 급격한 가격 하락을 겪으면서 많은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5년 8월 6일 기준으로 파이코인의 가격은 약 0.34달러(454원)로, 사상 최저치를 돌파했다. 이번 하락세는 최근의 프로젝트 발표 후 발생한 부정적인 시장 심리와 매도세의 반영으로 해석되고 있다.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24시간 동안 약 3.95% 하락했으며, 1주일 간의 총 하락률은 17.30%에 달한다. 또한 한 달 동안은 약 25.99%의 하락을 기록했으며, 60일 기준으로는 45.89%, 90일 동안 총 45.37%의 하락폭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파이코인이 0.28달러(374원)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이 커뮤니티 내에서는 여전히 장기적인 긍정론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부 마케팅 그룹에서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장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약세장이다.

파이 네트워크 팀은 8월 1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사용자들이 PI 토큰을 자발적으로 잠금(Lock-up)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사용자는 마이그레이션된 잔액의 최대 200%까지 토큰을 잠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채굴률을 증대시키고 보유 인센티브를 제공하려는 목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 역시 이번 하락세를 반전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더불어, 파이 네트워크는 인공지능 로보틱스 스타트업 OpenMind에 대한 투자를 통해 Web3 비전과의 연계 및 생태계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의미하나, 현재의 가격 회복에는 바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주목받고 있다.

파이코인은 여전히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와 같은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아 유동성과 채택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현재 PI는 Bitget, OKX, MEXC와 같은 중소형 거래소에서만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 거래량은 약 5,080만 달러(약 679억 원)로 전일 대비 15.6% 증가했지만, 시가총액 26억 4,000만 달러(약 3조 528억 원)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이는 주요 거래소 접근성 부족이 시장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청사진인 오픈 메인넷으로의 전환은 아직 진행 중이며, 사용자들은 코인을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필요한 KYC(신원 인증)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많은 이들이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비평가들은 주요 로드맵의 마일스톤이 불투명하며, 완전한 탈중앙화 구현 등 실질적인 유틸리티 도입 일정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연과 불확실성은 투자자의 신뢰를 약화시키고 있으며, 최근의 가격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 파이코인의 순환 공급량은 약 77억 8,550만 PI로, 전체 최대 공급량 1천억 PI의 약 7.79%에 해당한다. 이는 향후 더 많은 물량이 시장에 유입될 경우 가격 희석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2025년 8월 6일 기준으로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26억 4,000만 달러(약 3조 528억 원)이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0.0709%로, 시가총액 순위는 40위에 자리 잡고 있다.

결론적으로 파이코인은 현재의 가격 하락세 속에서도 생태계 개선 및 개발 활동을 지속하고 있지만, 주요 거래소 상장과 로드맵 이행의 투명성 향상, 그리고 실질적인 유틸리티 확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