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네트워크, .pi 도메인 경매 마감 연장…생태계 확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

[email protected]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가 공식 발표를 통해 .pi 웹3 도메인 경매 마감일을 2025년 9월 30일까지 연장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장은 사용자들이 더 많은 개발 시간과 참여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함으로, 도메인 등록과 프로젝트 제출을 준비하고 있는 ‘파이오니어’들에게 긍정적인 소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pi 도메인은 개인 지갑 주소 및 서비스 주소를 보다 직관적인 형식으로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잡한 지갑 주소 대신 ‘사용자 이름.pi’ 형식을 통해 파이 생태계 내에서 결제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필요한 고유 아이덴티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이더리움(ETH)의 .eth,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의 .bnb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자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파이 네트워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과거에도 오픈 네트워크 출시 일정과 주요 마일스톤이 여러 차례 연기되면서 신뢰도에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이번 경매 연장은 비판을 받으며 ‘스캠’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Pi 네트워크의 미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PI 코인의 가격은 0.33달러(약 460원)로 하락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해 부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암호 화폐 시장 전반의 조정세와 함께 지속적인 토큰 언락, 투자자 이탈 등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부정적인 상황 속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백만 달러 규모로 PI를 매수하고 있는 정체불명의 ‘고래’ 주소와 바이낸스 상장 가능성에 대한 루머가 시장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만약 바이낸스가 PI 코인을 상장하게 된다면, 유동성이 증가하고 레퓨테이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공식적인 입장이나 확정된 일정은 없는 상태이다. 현재 PI 거래는 게이트아이오(Gate.io), 비트겟(Bitget), OKX 등 특정 거래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바이낸스와 같은 대형 거래소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장 반전의 중요한 요소는 실질적인 네트워크 전환과 사용자 활동의 확대가 될 것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파이오니어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질지, 그리고 이번 연장이 개발자들의 참여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향후 파이 네트워크와 PI 코인의 동향은 암호 화폐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