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주요 암호화폐 시장인 한국과 일본에서 XRP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금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한국의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기업 BDACS가 XRP 수탁 서비스를 도입한 것과 일본 금융 대기업 SBI홀딩스가 XRP 기반 ETF 출시를 추진하는 것은 두 시장에서 XRP 활용의 확대를 예고하는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한국 BDACS는 8월 5일, 공식적으로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XRP 수탁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번 서비스는 XRP 관리 기능에 그치지 않고, 업비트, 코인원, 고팍스와 같은 주요 거래소와의 연계를 통해 XRP 거래를 더욱 안정적이고 규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BDACS 관계자는 “국내 XRP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번 조치는 리플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이정표”라고 밝혔다.
일본에서는 SBI홀딩스가 2025년 2분기 실적 보고서를 통해 XRP와 비트코인(BTC)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ETF 상품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이 ETF가 승인될 경우, 아시아 최초의 XRP ETF 중 하나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일본 금융당국의 규제를 충족하는 정식 ETF라는 점에서 기관의 유입을 촉진하고 거래 유동성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SBI홀딩스는 XRP의 초기 운용사인 리플과 강력한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자사 자산의 상당 부분을 XRP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흐름은 XRP의 실제 사용 확대와 제도권 금융으로의 편입 가능성에 신호탄이 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XRP는 최근 약 3달러(약 4,170원)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XRP 원장 기술(XRP Ledger)의 글로벌 채택 확대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 전문가들은 BDACS의 커스터디 서비스와 SBI의 ETF 출시 소식에 대해 “XRP가 아시아 시장에서 디지털 지급결제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ETF 출시가 자산에 대한 제도권 금융계의 신뢰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향후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 등 다른 알트코인 ETF의 확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리플은 XRP가 국경 간 결제 및 송금에서 빠르고 저렴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입지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과 일본이라는 핵심 시장에서의 기관 수요 확대는 이러한 전략의 성공적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XRP의 제도권 금융 진입이 날로 강화됨에 따라, 아시아 지역에서의 디지털 자산 시장 발전이 더욱 기대되는 시점이다.